본문 바로가기
공부/금융

4/13 기사 스크랩 '금리·환율·유가' 3高 속 불안해진 '서민 물가'

by kyj0032 2024. 4. 17.

https://www.ytn.co.kr/_ln/0102_202404131628300816

 

'금리·환율·유가' 3高 속 불안해진 '서민 물가'

■ 진행 : 나경철 앵커, 유다원 앵커■ 출연 : 이정환 한양대학교 경제금융대학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

www.ytn.co.kr

동기

환율이 1400원 대를 터치했다는 기사를 봤다

나는 해외주식 밖에 없었기 때문에 환차익 맛있다 .. 라고만 생각했었다

환율이 너무 오르면 정부에서 개입할 수도 있다 라는 대목을 읽고 당연히 환율이 계속/지속적으로 오르면 안 좋겠지만 ..(ex 수입 불리) 어떤 점에서 안 좋은 걸까? 내 실생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당장 생각나는 건 직구 정도 ... 실제 고환율이 내 실생활에 미치려면 좀 시간이 걸릴 것도 같고, 그 기간 안에 한은이랑 정부에서 잘 조절을 하지 않을까?) 궁금해서 찾아보다가

경제에 대해 거의 모르는 수준인 나도 잘 읽을 수 있는 기사를 찾아서 정리해본다

 

 

1. 금리 인하를 섣불리 할 수 없는 이유

 

상황

  • 기준금리를 열 차례 연속 동결한 상황
  • 고금리 고환율 고유가인 상황 ..
  • 내수가 위축되고 있어 금리 인하를 기대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유

  1. 물가 상승률이 너무 높고 + 농산물 가격 상승(애플레이션), 에너지가격 상승 등으로 금리를 낮추기가 어려움
    • 금리를 내리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므로 물가가 오름.
    • 더 자세하게는 금리를 내리면 예금보다 투자가 이득이고, 소비가 활발해짐 -> 수요가 많아지므로 자연스럽게 가격 상승
  2. 미국의 금리인하 시점이 계속 늦어지고 있음 - >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음
    • 미국의 금리 인하 시점이 늦어지는 이유
      •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면 - 시중에 달러가 많이 풀리니까 달러의 가치가 내려감(인플레이션)
      • 근데 지금 미국 경제가 너무 좋아서(경제 성장률이 0.2% -> 2.2%) 금리를 내리기 힘든 상황
      • 수요가 많아지면 공급이 동일한 상황에서 가격이 올라갈 수 밖에 없음
    • 미국의 금리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고환율)
    • 미국의 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기대보다 0.1%p 높게 나오면서 미국 국채금리가 굉장히 많이 오름
    • 미국의 금리(돈의 가치)가 오른다 == 달러의 수요가 오른다 == 한국도 그만큼 금리(원화의 가치)를 올릴 수 밖에 없다.

예상

  • 3월은 미국의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이 예상보다 낮게 나와서, -> 소비자 물가지수 반영은 3~6달 정도, 아마 그때쯤이면 소비자 물가지수가 안정이 되고 금리 인하를 할 수 있지 않을까

금리를 올릴 수 없는 이유

  • 우리나라가 물가가 너무 높다면(고환율의 영향) 금리를 올리면 되지 않나? 라고 생각했는데
  • 금리를 무작정 계속 올리면(긴축통화정책) 서민들은 보통 대출이 많이 있고 금리가 높은 게 좋지 않다 ..
  • 기업 입장에서도 금리가 높으면 투자를 할 수 없다
    • 자금 조달 비용 증가: 자금을 빌리는 비용 증가 -> 투자 수익을 낮추고, 투자를 줄일 수 밖에 없음
    • 소비 및 수요 감소: 높은 금리는 소비자의 대출 이자 부담을 증가시켜 소비를 줄이게 합니다. 이는 기업 제품에 대한 수요 감소로 이어지며, 결과적으로 기업은 투자를 줄일 수밖에 없습니다.

정리하자면,
정부 입장에선 투자를 유도하고 서민들의 생활을 보전하기 위해 금리를 빨리 낮추고 싶어한다.
그렇지만 물가가 상승하면 임금이 오르고 수요가 늘면 가격, 임대료가 높게 형성 -> 인플레이션이라 섣불리 금리를 조정할 수가 없는 상황

 

2. 고유가가 미치는 영향


1. 이란(산유국) <-> 이스라엘 / 에너지 공급의 불확실성 증가
2. 기름을 사올 때 달러로 지급해야하기 때문에 지금 환율이 높아서 소비자가격이 높아질 수 밖에 없음

지금 유류세 인하 조치 중인데 이를 더 연장해야 하는가?
기름 가격 상승 -> 결국 물가 상승

 

3. 전기세

코로나19 끝나고 유가가 굉장히 많이 오른 상황인데 한전이 부채를 감안하고 전기료 동결함(물가 안정을 위해)
부채가 200조인데 우리나라 정부 예산이 600조라 굉장히 큰 규모

전기료 상승이 불가피함

 

4. 대중교통요금

대중교통요금도 인상
코로나19 동안 다시 산정하지 않은 게 문제가 되면서(서민 삶 안정을 위해) 연쇄적으로 다들 올라가는 상황 .. 

 

결론) 삶이 팍팍해질 예정